e해법수학 이야기 16

수학을 잘가르치려면 (기정학습)

수학을 잘 가르치는 방법 엄마가 직접 아이를 가르치는 경우 보통 새로운 단원이 시작되면 엄마가 먼저 설명을 하고 이어지는 문제를 아이가 풉니다. 엄마는 옆에서 지켜보다가 아이가 문제를 틀리면 지적을 하고 다시 설명을 합니다. 아니면 엄마가 처음 설명을 끝내고 나서 과제로 “10쪽에서 15쪽까지 풀어라.”고 한 다음 얼마 후에 돌아와서 채점을 하겠지요. 그런데, 이미 설명이 끝난 문제를 아이가 틀리면 그 다음엔 어떻게 하시는지요? 당연히 모를 수 있다고 생각하고 다시 설명하시는지, 아니면 답답하게 여겨져 화를 내시는지요? 간단한 설명만으로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다면, 그 아이는 비범한 아이일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거의 모든 엄마들은 우리 아이들에게 이런 비범함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척 보고..

[스크랩] 수학 기호 및 특수 기호 이름!

특수기호 !- Exclamation Point (엑스클러메이션 포인트) “ - Quotation Mark (쿼테이션 마크) # - Crosshatch (크로스해치), Sharp(샵), Pound Sign(파운드 사인) $ - Dollar Sign (달러사인) % - Percent Sign (퍼센트사인) @ - At Sign (앳 사인, 혹은 앳), Commercial At(커머셜 앳) & - Ampersand (앰퍼샌드) ' - Apostrophe (어파스트로피) ` - Grave (그레이브) * - Asterisk (애스터리스크) - - Hyphen (하이픈), Dash (대시) . - Period (피리어드), Full Stop (풀스탑) / - Slash (슬래시), Virgule (버귤) \ - ..

A4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복사용지를 포함해 공문서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종이가 바로 A4 용지다. A4 용지의 규격은 297mm×210mm이다. 단순하게 300mm×200mm로 정하면 훨씬 편했을 텐데 왜 이렇게 복잡한 수치가 쓰였을까. 게다가 A4 용지는 우리 눈에 가장 아름답게 보인다는 황금비를 이루지도 않는다. 황금비는 (1 +√5 ) / 2≒1.618인 반면, A4 용지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는 약 1.414이다. ◆ 종이의 경제학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종이는 제지소에서 만든 큰 규격의 전지를 절반으로 자르고 또다시 절반으로 자르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렇게 절반으로 자르다 보면, 원래의 규격과 다른 모양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mm×200mm와 같이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1.5인 ..

[스크랩] 네모로직하는 방법

●저급한 일회성 퍼즐과는 달리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논리를 기반으로 한 3차원 고급퍼즐 입니다● ◐ 단축키 리스트: ┏─마우스 왼쪽 버튼: 동그라미(O) ┣─마우스 오른쪽 버튼: 엑스표(X) ┣─CTRL + 마우스 왼쪽 버튼: 엑스표(X) ┣─CTRL + 마우스 오른쪽 버튼: 동그라미(O) ┗─SHIFT + 마우스 왼쪽/오른쪽 버튼: 미리 찍어보는 작은 점. 실제 게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기본룰: 1. 가로, 세로 각 행과 열에 있는 숫자의 수 만큼 칸을 연속해서 칠해 간다. 2. 한 줄에 숫자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쓰여있는 숫자의 순서대로 칸을 칠해 가고, 첫번째 숫자에 속해서 칠해진 부분과 그 다음 숫자에 속해서 칠해진 부분 사이에는 적어도 한 칸 이상을 공란으로 두어야 한다. ① ..

수학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최고의 꿀팁!

수학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최고의 꿀팁! 안녕하세요, 리더솔로몬영재학원(e해법수학교실)입니다. 사상 최초의 온라인 개학이 시행되면서 학생, 학부모, 교육 전문가 등 다양한 입장에서 여러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져 정서적으로 좋은 영향이 있다', '등교 준비 없이 편하게 공부할 수 있어 좋다' 등의 긍정적인 의견이 있는 반면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그 중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학력 격차 심화'입니다. 학교별, 교사별로 제각각인 원격 수업의 방식과 내용, 아이의 집중력,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부모님의 케어 여부 등등 여러 요인에 의해 아이들 간 심각한 학습 격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학습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온라인 개학 기간..

[스크랩] 아이의 멘토가 되라

아이의 멘토가 되라 1. 평생 책 읽는 아이로 만들어라. (서예 유성룡 종가) 2. 자긍심 있는 아이로 키워라. (석주 이상룡 종가) 3. 때로는 손해 볼 줄 아는 아이로 키워라. (운학 이함 종가) 4. 스스로 재능을 발견할도록 기회를 제공하라. (소치 허련 가문) 5. 공부에 뜻이 있는 아이끼리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퇴계 이황 종가) 6. 세심하게 점검하여 질책하고 조언하라. (고산 윤선도 종가) 7. 아버지가 자녀교육의 매니저로 직접 나서라. (다산 정약용 가문) 8. 최상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라. (호은 종가) 9. 아이의 멘토가 되라. (명제 윤증 종가) 10. 원칙을 정하고 끝까지 실천하라. (경주 최부잣집) - 최효찬의《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중 -